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한국 민요의 존재양상과 판도 = (A)Study on the regional and categorical situation of folksong in Korea
문학
도서 한국 민요의 존재양상과 판도 = (A)Study on the regional and categorical situation of folksong in Korea
  • ㆍ저자사항 강등학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민속원, 2016
  • ㆍ형태사항 927 p.; 26 cm
  • ㆍ총서사항 민속원; 1408
  • ㆍ일반노트 권말부록: 민요별 용도 목록 등 2017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임
  • ㆍISBN 9788928509485
  • ㆍ상세내용 1378종의 모든 민요에 대한 생태적 정보와 지식. 그 동안 우리 민요 연구자들은 작업의 수행에 필요한 기반지식을 수월하게 공급받지 못했다. 그래서 도 단위의 지역민요를 논하면서도 논의의 폭과 문제의식을 해당 단위지역 밖에까지 거시적으로 조망하며 작업하는 일이 드물었고, 특정 개체요나 특정 용도의 문제를 논하면서도 여타의 형편을 배경지식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가하면, 민속학, 국문학 등 관련 학계, 그리고 문학계, 언론계, 문화예술계, 각급 행정기관, 또 각급 학교의 교육자와 피교육자 등 민요지식의 실용적 수요자들 역시 정리된 정보와 지식이 마땅치 않아 필요한 내용을 찾아보는 데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 ㆍ주제어/키워드 한국민요 존재양상 판도
  • ㆍ소장기관 오송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OS0000039441 [오송]종합자료실
811.409-강27한
대출가능 상호대차

상세정보

1378종의 모든 민요에 대한 생태적 정보와 지식 그 동안 우리 민요 연구자들은 작업의 수행에 필요한 기반지식을 수월하게 공급받지 못했다. 그래서 도 단 위의 지역민요를 논하면서도 논의의 폭과 문제의식을 해당 단위지역 밖에까지 거시적으로 조망하며 작업하는 일이 드물었고, 특정 개체요나 특정 용도의 문제를 논하면서도 여타의 형편을 배경지식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가하면, 민속학, 국문학 등 관련 학계, 그리고 문학계, 언론계, 문화예술계, 각급 행정기관, 또 각급 학교의 교육자와 피교육자 등 민요지식의 실용적 수요자들 역시 정리된 정보와 지식이 마땅치 않아 필요한 내용을 찾아보는 데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이러한 정황을 감안하면 여기서 수행한 민요자료의 빅데 이터 작업 결과는 한국민요학의 기반지식으로서, 그리고 우리 민요의 실용지식으로서 기여할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1923년 6월호 『개벽』에 실린 민요관계 문건을 기준으로 보면 우리 민요연구의 역사는 93년이 된다. 역사가 오래된 만큼 그 동안 축적된 민요 자료 또한 미처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에 이르러 있다. 이제는 우리가 불러 온 민요 거의 대부분이 드러나 있는 상황이라고 해도 될 만한 단계에 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자료의 양적 확 대만큼 우리 민요의 지식과 정보의 지평이 확장되어 있는지는 의문이다. 그것은 무엇보다 축적된 자료들을 모아 거시규모의 정보와 지식으로 가공해내는 작업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축적된 자료들이 어떠한 연대성도 지니지 못한 채 그저 산재되어 있었던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