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앨리스의)이상한 나라 경제학 퇴치 가이드: 정치인과 대중을 위한 새 경제학 여행
사회과학
도서 () :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HE0000078377 c.1 [오창호수]종합자료실
320.1-현225ㅇ=1
대출가능 상호대차

상세정보

현실에 부합하는 새로운 시각의 경제이론을 제시한 이론서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경제학 퇴치 가이드 -정치인과 대중을 위한 새 경제학 여행』이 출간되었습니다. 본서는 제목과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에서나 통용될 법한, 상식에 반하는 기존의 경제학에 대하여 날카로운 비판을 가함과 동시에, 그에 그치지 않고 상식과 부합하는 새로운 건설적인 시각을 제시하는, 정치인과 언론인, 그리고 일반 대중을 위한 “경제학 개론서”입니다. 이 책의 부제에 ‘정치인’이 ‘대중’보다 앞에 있는 이유가 있습니다. 아무리 일부 깨어있는 시민들이 외쳐 보았자 일단 당장 법안을 기획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정치인들이 경제에 대하여 무지하고, 따라서 모든 경제 현안을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에서나 적용되는 비상식이고도 광신적인 “경제 종교”에 세뇌되어 있는 학자와 관료들에게만 방임하는 한, 우리 경제의 희망은 줄어들기 마련입니다. 또한 대중을 계도하여야만 하는 언론인들도 공부는 도외시한 채 기존의 고정관념과 편견에 사로잡혀 있는 한, 그들의 펜은 대중과 정치인을 호도하고, 결국 경제정책이 대중 영합 내지 선동주의로 흐르는 바에 일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필자는 우선적으로 그들을 위하여 이 책을 저술하였습니다. 즉, 본서는 기존 경제학에 있어서의 고정관념을 해부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그에 의하여 정치인, 언론인, 그리고 결국은 일반 대중을 포함하는 독자들이, 소위 ‘전문가’라고 자처하는 중세 천동설을 숭배하는 것과 같은 종교집단에 모든 것을 방임하지 않고, 이제는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힘을 함양하여 목소리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하여 그 모두가 경제에 재차 희망을 일깨우는 바에 일조할 수 있게끔 하는 목적으로 집필된 것입니다. 유튜브나 방송에 등장하는 각종 경제분석가, 언론인들, 정치인, 그리고 심지어 대학교수들이 반복하는, 마치 중세 천동설과 같은 주류 경제학 교과서의 비상식적 이론들을 암기한 후 스테레오 타입으로 반복하는 각종 주장들을 본서를 통하여 독자들 스스로 판단하고 비판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학교 경제학 개론 시간에서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맨큐의 주류경제학 교과서만 강요하지 말고 다른 비판적 시각도 보여주었으면 하는, 그다지 가능성은 크지 않은 바람도 본서를 집필하게 된 이유 가운데 하나입니다. 본서가 다루는 영역은, 경제학의 방법론, 유효수요의 이론, 재정정책, 금융 정책, 화폐와 물가, 국제수지와 환율, 그리고 경제성장과 기술 발전 등, 기존의 교과서에서 등장하는 광범위한 주제들이지만 그 접근 방법에 있어서는 기존의 경제학 교과서와는 상이합니다. 그리고 기존의 경제학 교과서에서 나오는 복잡한 수식이나 그래프 뒤에 은밀히 숨어있는 가장 기본적인 전제와 가정을 철저히 해부하고 그것들이 가지는 비상식성을 폭로하며, 케인즈의 진정한 후예라고 자부하는 포스트 케인지언의 경제이론을 소개하고 그것들이 현실 경제를 이해하고 어려움을 헤쳐 나감에 있어서 기여하는 바를 가급적 쉬운 용어로서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본서에서는 기존 경제학 교과서에 나오는 복잡한 그래프와 수식은 최소한 하려고 노력하였으며, 고등학교 수학 수준의 지식으로 어려움 없이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서는 독자들이 가급적 효율적으로 전반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기존 경제학 개론에 나오는 모든 주제를 다루지는 않고, 그 주제들을 중요도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들을 원하는 독자들은 본서보다 고급 이론들을 다루는, 필자가 추천하는 다른 서적들로 공부하여 그 깊이를 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