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오늘도 나는 이혼을 꿈꾼다 이경자 소설
문학
도서 오늘도 나는 이혼을 꿈꾼다 이경자 소설
  • ㆍ저자사항 이경자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걷는사람, 2023
  • ㆍ형태사항 343p.; 28cm
  • ㆍ총서사항 큰글자도서라이브러리
  • ㆍISBN 9791192333793
  • ㆍ주제어/키워드 이혼 한국현대소설 한국문학 대활자본 큰글자
  • ㆍ소장기관 가로수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UB0000001144 [가로수]일반자료실 (3층)
큰 813.62-이14ㅇ
대출가능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상세정보

90년대에 반향을 일으킨 페미니즘 소설 『오늘도 나는 이혼을 꿈꾼다』 복간 『오늘도 나는 이혼을 꿈꾼다』는 1992년 출간된 작품으로, 총 54편의 초단편소설이 한데 모인 엽편소설집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가부장제로 점철된 혼인 관계 속 고통받는 여성을 위해 목적의식적으로 쓰여진 작품이며, 이경자 소설가가 스물여섯부터 마흔다섯에 이르기까지 자그마치 이십여 년 동안 관찰하고 실감해온 여성차별의 역사이기도 하다. 하지만 수많은 남성들의 항의와 여성 차별에 무지했던 당대의 시대상으로 인해 절판되고 말았다. “1992년부터 2020년에 이르기까지, 약 30여 년 동안 우리의 사회는 얼마나 달라졌는가? 이것을 과연 ‘어제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까?”하는 질문으로부터 복간이 기획되었다. 여성 억압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다양한 여성의 삶에 틈입하여 그 이야기를 생생히 풀어내고 있는 『오늘도 나는 이혼을 꿈꾼다』. 이 책을 통해 작가는 “‘가사노동의 경제화’ ‘가족법 개정’ ‘간통법 존폐 논쟁’ ‘하층 여성 위에 군림해 권능감을 느끼려는 부르주아의 허위의식’ 등을 날카롭게 풍자”하며, “‘엄마와 딸’ ‘시어머니와 부인’ ‘부인과 애인’ ‘기혼 여성과 미혼 여성’ ‘중산층 여성과 하층 여성’ ‘성녀와 창녀’ 등 여성 관계를 손쉽게 분할하는 당대 관습에 강력하게 반발”한다. 책의 첫 꼭지에서는 90년대의 방법으로 ‘미러링’을 시도한다. 집안에서 가사노동을 하는 것이 남편의 미덕이고 사회생활을 빙자한 외도를 하는 것이 아내의 역할인 세계관, 그 속에서 아내는 남편에게 저지른 폭력을 정당화한다. (「옛날 옛날 한 옛날에」). 갓 결혼한 순희는 옆집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가정폭력을 지나치지 못해 장로를 찾아가지만, 장로를 비롯한 시대 풍토는 ‘남편이 제 안 사람을 다스리는 것은 참견할 수 없다‘며 방관한다. (「새 각시의 아내 공부」). 직장 내 성희롱이 만연한 환경에서 능력 있는 신입사원 ’미스 리‘는 유연하게 대처한다. 오히려 여직원은 회식 자리에 참여할 수 없다는 말에 일갈하며, “우리는 누구의 아내로서 직장에 다니는 게 아니다”라며 목소리를 낸다. (「무엇을 할 것인가」). 맞벌이 환경에서 독박육아를 도맡은 정우는 시어머니와 남편의 반복되는 무시에 불합리함을 느껴 울화통이 터진다. (「피곤과 사치」).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 빈번하게 자행되는 여아 낙태의 실태 또한 담고 있다. ‘아들딸 구별 말고 둘만 가지기로’ 마음먹었던 부부는 막상 딸만 둘을 낳자, 마치 그것이 죄라도 되는 듯 아들을 원한다. 그러나 배 속에 잉태된 아이가 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자 거리낌 없이 지우기로 결심한다. (「살려주세요!」). 남편의 외도쯤은 당연한 것으로 치부되는 시대상을 표현하기도 한다. 남편에게 외국 생활을 하는 동안 “아무 일 없었느냐”고 묻는 ‘마누라’는, 남편의 매춘에 대한 고백을 두고 유쾌하게 반응한다. (「여우와 늑대」). 병서는 여자친구인 영희가 ‘여자답지’ 않게 사회문제에 관심이 많은 것이 늘 마땅찮다. 영희는 신문에서 본 성폭력 사건에 대해 언급하고, 병서는 오히려 여자의 잘못을 탓한다. (「여자는 알 수 없다-직장인의 연가 9」) 성폭력 사건에 대한 여ㆍ남의 의견 대립과 성인지 감수성에 대해 무지하던 당대 남성들의 시대상을 보여준다. 두 주먹 불끈 쥐고 ‘여성주의 관점’을 지켜내고자 이경자 소설가는 짧은 소설로 발화하는 방법을 택했다. “그는 언제나 여성들에게, 가부장제 사회의 ‘보호’와 ‘배려’의 대상이 되느니 울타리 밖으로 나아가 기꺼이 ‘도전’하고 ‘혼란’을 겪자고 설득”한다. 우리 사회의 모습을 거울처럼 비추는 이야기 속에서, 여성들은 무언가를 ‘깨달아’가며 두렵고도 용맹한 얼굴로 세상에 맞선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