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나, 나, 마들렌
문학
도서 나, 나, 마들렌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UE0000026432 [가로수]일반자료실 (3층)
813.7-박53ㄴ
대출가능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상세정보

세계는 조금 고상하고 많이 상스럽고 쓸데없이 비장하며 매우 구체적으로 실없는 농담이다 현실과 환상, 절망과 희망, 탄생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보적 이야기꾼 박서련 월드의 모든 것 2018년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은 박서련의《체공녀 강주룡》이었다. 2015년 〈실천문학〉 신인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지만 그가 처음 완성한 장편이자 첫 책인《체공녀 강주룡》으로 마침내“전혀 다른”소설이 도착했음을 독자에게 알렸다. “거침없이 나아가되 쓸데없이 비장하지 않고,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했으나 자기 연민이나 감상에 젖지 않는 이 인물을 통해 우리는 전혀 다른 여성 서사를 만난다”라는 심사평에는 이 신예 소설가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녹아 있다. 이후 5년여 동안 박서련은 지치지 않는 상상력과 창작력으로 발표하는 작품마다 평단과 독자의 고른 지지를 얻어왔다. 소재는 물론 장르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다방면의 글쓰기라는 실험과 모험을 감행했다. 성장과 투쟁의 서사에서 출발해(《체공녀 강주룡》) 너무 쉽게 악몽으로 변하는 청년 여성의 삶을 들여다보았고(《마르타의 일》) 낯선 이국에서 동명이인들과 연대해 사랑을 찾은 어쩌면 평범한 모두일 존재를 조명했으며(《더 셜리 클럽》) 이윽고 신용카드를 손에 쥔 미지의 마법소녀라는 전무후무한 캐릭터의 세계를 만드는(《마법소녀 은퇴합니다》) 등의 행보가 그것이다. 여성의 자유와 삶이라는 근원적인 고민으로부터 무한히 교차하고 확장해나가는 박서련만의 서사를 스스로 갱신하고 있다. 다변하는 세계를 꿰뚫는 시선, 무엇보다 문학 독자뿐만 아니라 영상에 익숙한 이들까지도 포섭하는 몰입감 넘치는 소설적 재미는 근래 한국문학을 이끌어가는 젊은 작가 중에서도 단연 독보적이다. 두 번째 소설집 《나, 나, 마들렌》은 박서련이 확보해가고 있는 문학적 영토의 정수라 할 만하다. 좀비 아포칼립스, 극중극 판타지를 통해 보여주는 장르적 쾌감뿐만 아니라 모성 이데올로기, 여성의 몸과 노화, 상실과 애도 같은 더 깊고 넓어진 연대의 서사까지, 박서련표 소설 세계에서도 하이 스토리와 로우 스토리를 두루 포함하여 그 기세가 위풍당당한 7편의 단편을 엮었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한 이 단편들은 현실과 환상, 절망과 희망, 탄생과 죽음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절묘한 소설 미학을 선보인다. 책장을 넘기며 연신 놀랐다. 와, 이게 어떻게 전부 한 작가가 쓴 이야기지? 박서련은 한 사람의 내면을 정말 그 사람으로 한참 살아본 것처럼 그려내는데, 신기하게도 다음 편으로 넘어가면 한순간에 또 다른 사람의 내면이 펼쳐져 있다. 무수한 마음들을 엮어 독자를 향해 쏘는 단 한 발의 화살. 《나, 나, 마들렌》은 그런 위력을 지닌 책이다._김초엽(소설가)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