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생애설계와 시간관리
기술과학
도서 생애설계와 시간관리
  • ㆍ저자사항 최성재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ㆍ형태사항 518p.; 23cm
  • ㆍISBN 9788952129390
  • ㆍ주제어/키워드 생애설계 시간관리 은퇴설계 노후준비
  • ㆍ소장기관 가로수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UE0000025325 [가로수]일반자료실 (3층)
591.9-최53ㅅ
대출가능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상세정보

모든 연령층의 100세 건강과 행복을 위한 생애설계의 이론, 원칙, 절차 및 실천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 장수는 축복인가 재앙인가? 100세 시대, 우리가 원하는 삶은 무엇인가? 우리가 원하는 삶은 노후만의 건강과 행복이 아니라, 요람에서 무덤까지 생애주기 전체 각 단계마다의 건강과 행복이다. 이 책은 지난 40년간 고령화사회와 생애발달과정을 연구한 결과와 국가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정책실천 현장에서 일한 저자의 경험을 집대성한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생애설계의 이론과 절차 및 8대 생활영역별 실천방법을 제시한다. 100세 인생의 건강과 행복은 어린 시절부터 노후까지 생애주기 전체 각 단계마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설계와 실천이 이루어져야 더욱 확실히 보장될 수 있다. 저자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재무나 건강 등 일부 영역에 치우친 설계가 아닌, 가능하면 이른 시기부터 생활 각 영역과 생애주기 전체 각 단계별로 원칙과 절차에 따른 실용적인 ‘생애설계(life planning)’를 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생애주기 단계마다 수행해야 할 발달과업을 제시한다. 생활영역은 직업·경력설계, 학습·자기개발설계, 건강설계, 가족·사회관계설계, 주거설계, 사회참여·봉사설계, 여가·영적활동설계, 재무설계 등 8대 생활영역으로 구분하고, 생애주기는 평균수명 연장으로 100세까지 생존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대에 맞게 현재의 8단계(영아기, 유아기, 학령전기, 학령기,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에서 9단계로 재조정했다. 현재 일반화되어 있는 중년기(40~65세)와 노년기(65세 이상)의 연령을 재조정하여 40~60세는 중년기, 80세 이상은 노년기로 정하고, 그 사이 60~80세를 장년기로 새로 하였다. 또한 실용적인 생애설계를 위해 생애설계의 주요 과정에 시간관리를 포함시켜 시간관리를 통한 실천방법을 제시하고, 가상 생애설계자(20세 대학생, 40세 회사원, 55세 퇴직 예정자) 세 명의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각 생애 단계에 맞는 생애설계의 구체적인 방법을 서술한다. 이 책은 일반인에게는 생애설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실천하게 되고, 관련 전문가들과 국가 정책 담당자들에게는 생애설계의 이론적 연구와 실무 서비스 및 정책을 한층 더 체계적이고 실용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