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불교를 사랑한 조선 유학자의 선어록: 述夢?言
종교
도서 불교를 사랑한 조선 유학자의 선어록: 述夢?言
  • ㆍ저자사항 김대현 저 ;
  • ㆍ발행사항 서울 : 운주사, 2021
  • ㆍ형태사항 206 p. ; 21 cm
  • ㆍISBN 9788957466377
  • ㆍ주제어/키워드 불교 종교 조선유학자 선어록 수필
  • ㆍ소장기관 상당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DE0000072570 [상당]종합자료실
220.4-김222ㅂ박
대출가능 상호대차

상세정보

조선 후기의 한 유학자가 펼쳐보이는 불교의 견성, 깨달음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책! 불교의 깨달음과 인간의 생사 문제를 꿈이라는 비유를 통해 담담하고도 세밀하게 묘사한 한국 불교수필 문학의 숨은 보석과도 같은 책이다. 1. 『술몽쇄언』은 ‘꿈을 이야기하는 자질구레한 말’이라는 뜻으로,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월창 김대현의 수필이다. 저자는 유학자이면서도 불교에 심취하여 40세에 『능엄경』을 접하고 불교에 귀의하였으며, 죽을 때까지 오로지 불교 공부와 수행에만 몰두하였다. 한평생 수많은 저서를 남겼으나 죽기 직전 모두 불태워 버렸으며, 현재 『술몽쇄언』과 『선학입문』이 전한다. 그중 『선학입문』은 천태학의 교리와 수행 체계를 명쾌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저술로, 그의 불교에 대한 이해 수준과 깊이가 얼마나 뛰어났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술몽쇄언』을 온전히 번역한 것으로, 사람이면 누구나 꾸는 꿈을 통해 불교의 정수인 깨달음을 말하고 있다. 2. 저자는 『술몽쇄언』에서 사람들의 관심사인 꿈을 소재로 하여 불교의 깊은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꿈을 선택한 동기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조선시대는 불교가 억압받고 유교가 숭상되던 시기이므로 불교 포교와 중생 계몽을 드러내어 실천하기란 쉽지가 않았기에 꿈을 통한 우회적인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불교를 드러내지 않고 오로지 꿈이라는 소재만으로 불교의 진수를 말하면서 불교의 깨달음인 견성見性을 위한 수행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슈인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 고통과 슬픔 그리고 기쁨과 즐거움으로 점철된 중생의 인생에 대한 본질, 사람들의 욕망과 어리석음은 물론, 지식인들의 가치관에 대한 한계와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불교의 깨달음의 입장에서 이 모든 것들의 본질은 자체의 어떤 특별한 별도의 성질(自性)이 있는 것이 아닌, 그저 꿈이고 공空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유명한 장자莊子의 ‘나비 이야기’가 나온다. 이 때문에 『술몽쇄언』이 도가의 저서라고 주장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술몽쇄언』은 공空과 무차별을 이야기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외도의 사상들을 비판하면서 결국에는 사바세계라는 꿈에서 완전히 깨어나는 것이 핵심인데, 이는 불교의 깨달음인 견성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하여 범부들의 삶의 지향점으로 견성을 제시하면서, 견성의 실현을 위해 수행을 촉구하는 것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즉 『술몽쇄언』에는 유학과 도가의 내용들이 들어 있어 유불도 삼교합일 사상을 표방하는 것 같지만, 그 핵심 논지와 주제는 모두 꿈을 비유로 하여 불교의 공空사상으로 귀결시키고 있는 불교서적인 것이다. 이 책의 제목에서도 드러나듯이 『술몽쇄언』은 불교 에세이이기도 하지만, 한편 재가 거사의 선어록이라고도 할 수 있다. 불교의 수행과 깨달음에 대한 저자의 견해가 덤덤하고도 조리 정연하게 서술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술몽쇄언』에서 깨달음과 생사의 원리를 잠에서의 꿈과 깸으로 비유하고 함축해서 설명한다. 역대 조사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는 선어록은 깨달음에 대한 언급과 기록으로 본다면 굳이 승속을 가릴 성질의 것은 아니다. 실제로 『술몽쇄언』은 깨달음에 대해 설한 역대 조사스님들의 사상을 꿈으로 응용하고 있다. 그래서 ‘선어록’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가 사용하는 언어는 평범하고 쉬우면서도 현대인이 읽어도 전혀 고루하지 않은 청량함이 있으며, 고전다운 품격이 있으면서도 격조 높은 에세이를 읽는 것 같은 깊이가 있다. 3. 이 책의 역자는 불교를 전공한 스님으로, 기존에 『술몽쇄언』에 대한 번역서가 있긴 하지만 정확하고 제대로 된 것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박사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직접 원문과 대조하여 꼼꼼히 번역함으로써 원문에 충실하고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탄생시켰다. 이 책을 통해 그간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조선 후기의 한 유학자가 저술한 수필, 그것도 불교수필의 깊이와 아름다움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