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2022년 이후, 한국교육을 말하다: 교육대전환의 시기, 쟁점과 전망
사회과학
도서 2022년 이후, 한국교육을 말하다: 교육대전환의 시기, 쟁점과 전망
  • ㆍ저자사항 이광호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 에듀니티, 2022
  • ㆍ형태사항 259 p. : 삽도 ; 23 cm
  • ㆍISBN 9791164251292
  • ㆍ주제어/키워드 한국 교육 인문 교육학 교육사 한국교육사
  • ㆍ소장기관 가로수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UE0000023647 [가로수]일반자료실 (3층)
371.0911-이16ㅇ
대출가능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상세정보

한국교육이 경험한 세 번의 사건 2022년 이후, 우리 교육은? # 2022년 한국교육이 경험한 세 번의 사건 # 우리 교육의 방향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 한국교육이 지나온 길과 나아갈 길에 대한 회상과 전망 # 진보와 보수의 갈등과 대립 그리고 국가교육위원회 2022년 한국 교육계는 세 번의 커다란 ‘사건’을 맞이했다. 3월 9일의 대통령선거와 6월 1일의 교육감 선거, 그리고 7월 21일의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이 그것이다. 우리 교육의 큰 방향을 가늠할 세 개의 사건이 거의 3~4개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일어난 셈이다. 2022년 이후 우리 교육은 어떻게 될 것인가? 현재의 혼돈 상황은 언제쯤 마무리될 것인가? 많은 사람이 질문을 던진다. 하지만 그 질문에 대해 선뜻 답을 하기는 어렵다. 혼돈 상황이 꽤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을까? 어쩌면 윤석열 정부의 5년을 넘어설 수도 있다. 혼돈의 일상화가 ‘뉴노멀(New Nomal)’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그 혼돈의 실체가 무엇인지, 어디로부터 발생한 혼돈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혹자는 기존 진보와 보수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그 혼돈이 커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진보와 보수의 잣대로 지금의 혼돈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그보다는 ‘낡은 과거’와 ‘새로운 미래’가 뒤엉켜 있는 게 아닐까? 급격한 사회변화과정에서 나타난 ‘비 동시성의 동시성(the contemporaneity of the uncontemporary)’이 교육영역이라고 피해 갈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낡은 과거’의 산물이고, 무엇이 ‘새로운 미래’의 맹아(萌芽)가 될 수 있는가? 어쩌면 이 두 개를 구분하는 법부터 새로운 논란이 될 수 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