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똥의 인문학 - 생태와 순환의 감각을 깨우다: 생태와 순환의 감각을 깨우다
도서 똥의 인문학 - 생태와 순환의 감각을 깨우다: 생태와 순환의 감각을 깨우다
  • ㆍ저자사항 김성원,
  • ㆍ발행사항 고양 : 역사비평사, 2021
  • ㆍ형태사항 256 p. : 삽화, 초상 ; 22 cm
  • ㆍISBN 9788976964465
  • ㆍ주제어/키워드 깨우 감각 순환 생태 인문학
  • ㆍ소장기관 금호예다움작은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SLB000014908 금호예다움_자료실
일반 001.3-김54ㄸ
대출가능

상세정보

‘비료’에서 ‘오염물질’로… 똥오줌이 제도적 하수화가 되는 과정 이 책은 ‘똥’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이자, 과학과 생태의 결합을 통해 모든 생명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세상을 꿈꾼다. 똥과 인간의 관계를 단지 위생학적 관점이 아닌, 정신분석·정치경제·미생물학·예술·인류세·도시공학·변기공학 등의 다양한 영역의 관점에서 똥을 바라본다. 근대 르네상스기 민중문학에 보이는 똥에 대한 유쾌한 풍자 이야기, 해방 직후부터 1970년대 초까지 서울의 똥오줌이 처리되었던 방식, 한국문학 속에 나타난 ‘똥’에 대한 인식 변화(양가적 → 이분법적 인식), 정신분석학적으로 보는 쾌락과 억압으로서의 ‘똥’, 세계 각국의 화장실·변기 기술 및 똥을 활용한 작품이나 생활도구 이야기, 화장실 박물관 ‘해우재’의 큐레이터가 전하는 ‘똥’에 대한 아이들의 열광적인 관심, 그리고 행성적 차원의 물질대사 측면에서 바라본 똥에 대한 생각. 눈에서 보이지 않게 치워버려야만 하는 배설물이 아니라 생태 순환의 한 고리로서 똥을 생각한다면 우리의 지구는, 우리의 자연은 기후위기나 팬데믹 같은 위험스러운 상황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