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 복지 대책의 틈을 채울 7가지 새로운 모색
사회과학
도서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 복지 대책의 틈을 채울 7가지 새로운 모색
  • ㆍ저자사항 조영태 외
  • ㆍ발행사항 서울: 김영사, 2024
  • ㆍ형태사항 240 p.; 22 cm
  • ㆍ일반노트 공저자:장대익,장구,서은국,허지원,송길영,주경철
  • ㆍISBN 9788934950059
  • ㆍ주제어/키워드 사회학 사회문제 저출산문제 초저출산 복지대책
  • ㆍ소장기관 상당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DE0000074741 [상당]종합자료실
331.3-초73ㄱ
대출가능 상호대차

상세정보

합계출산율 0.7 어린이 놀이터가 어르신 운동장으로… 인구 위기 축소 사회, 우리는 왜 소멸을 선택했나?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근본 원인과 해법을 찾다 합계출산율 0.98명(2018년)에서 0.72명(2023년)으로. ‘1’이 무너진 이후로도 합계출산율은 끝없이 추락 중이다. 천만 인구가 살고 있는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폐교가 생기기 시작했고, 놀이터는 어르신 운동 시설로 채워지고 있다. 출산율이 이 정도로 추락한 진짜 이유가 무엇일까? 인구절벽 벼랑 끝에서 생존할 해법은 무엇일까? 인구학자 조영태 서울대 교수, 진화학자 장대익 가천대 석좌교수, 동물학자 장구 서울대 교수, 행복심리학자 서은국 연세대 교수, 임상심리학자 허지원 고려대 교수, 빅데이터 전문가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 역사학자 주경철 서울대 교수가 진단하는 초저출산 현상의 근본 원인과 해법.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과 심리적 기제에서 저출산에 대응한 다른 나라의 역사적 사례와 사회 시스템의 변화까지,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조망하는 학계 최초 초저출산 대처 융합 프로젝트.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