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쉽게 풀어 쓴) 국어사 개론
언어
도서 ( )
  • ㆍ저자사항 신승용 지음
  • ㆍ발행사항 서울: 집문당, 2022
  • ㆍ형태사항 251p.: 도표; 25cm
  • ㆍISBN 9788930319294
  • ㆍ주제어/키워드 국어사 개론 국어역사 한글역사
  • ㆍ소장기관 금빛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IE0000032607 [금빛]종합자료실
710.9-신58ㄱ
상호대차중 2024-07-10 대출예약 상호대차불가

상세정보

국어사는 단지 국어사라는 이유만으로도 학생들은 일단 어렵다고 생각하고 가까이 다가서기를 꺼려한다. 그래서 학부 학생들이 국어사를 조금이라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내용도 대부분의 국어사 개론서들에서 일반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들로 구성하였다. 특정 개론서에서만 나오는 내용이나 주장은 가능한 싣지 않았고, 다만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간략하게 그 내용을 소개하는 정도에서 다루었다. 학생들이 국어사를 가까이 하기에는 너무 멀다고 생각하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한자였다. 국어사 자료에 한자가 많다 보니 아예 자료를 읽는 것에서부터 막히게 되니까 자료를 분석하는 것은 엄두도 못 내게 된다. 이는 본말이 전도된 상황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한자가 없으면서도 전형적인 예들을 찾아서 제시하였고, 한자가 포함된 경우에는 한자의 독음을 일일이 달아 주었다. 그래서 한자 때문에 국어사를 멀리하는, 본말이 전도된 기형적인 상황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하였다. 쉬운 것이 좋은 것은 아니지만, 어려워서 아예 접근을 하지 못하는 것보다는 낫다. 그렇다고 이 책이 내용의 충실성을 소홀히 한 것은 아니다. 국어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 왔던 내용들은 거의 대부분 이 책에 포함하였다. 그리고 무조건 외우지 않고 분석해서 이해할 수 있게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