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인공지능 시대의)사진 이미지 읽기
예술
도서 (인공지능 시대의)사진 이미지 읽기
  • ㆍ저자사항 박평종,
  • ㆍ발행사항 서울: 달콤한책, 2020
  • ㆍ형태사항 198p.: 천연색삽화; 26cm
  • ㆍ총서사항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 인공지능인문학 대중서
  • ㆍISBN 9791196280147
  • ㆍ주제어/키워드 사진 이미지 읽기 사진기술
  • ㆍ소장기관 가로수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중인 도서 정보를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안내하는 표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상호대차
UE0000025314 [가로수]일반자료실 (3층)
660-박844ㅅ
대출가능 무인대출예약 상호대차

상세정보

문자 문명이 시작된 이래,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양의 이미지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한다. 나아가 이미지는 문자 언어와 공존하며 소통의 수단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과 SNS를 통한 이미지 정보의 소통량은 가늠이 어려울 정도다. 말하자면 이미지는 언어가 됐다. 사람들은 배우지 않아도 이미지를 이해한다고 생각한다. 사진이 실제 현실과 ‘너무나’ 유사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그 의미를 이해한다고 믿는다. 이미지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문법을 따로 배울 필요가 없다는 ‘보편적인’ 사고가 지배하고 있다. 카메라는 르네상스 시기에 완성된 원근법을 완벽하게 구현하는 도구이며, 기하학적 비례의 원칙을 따라 이미지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미지 구성의 수학적 원리와 함의를 이해하지 못하면 의미를 제대로 읽어낼 수 없다. 이 책은 ‘언어’로서의 사진 이미지를 읽어내기 위해 필요한 주요 개념들을 독자들이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 내용만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또 가능한 범위에서 한국 사진작가들의 작품으로 구성한 풍부한 도판을 수록하여 사진 이미지를 통해 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했다.



도서정보 상세보기[NAVER 제공]

내가 찾은 검색어